본문 바로가기
국내 관광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500 번지 선운사 꽃무릇축제

by 신정동 홍프로 2023. 9. 17.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500 번지 선운사 꽃무릇축제

추분(9월23일)을 전후 해 전국 곳곳에서 꽃무릇이 절정을 맞았습니다. 이에

맞춰 전남 영광 불갑사, 전남 함평군 용천사, 전북 고창 선운사 등에서는 꽃무릇

축제를 열어 사람들의 발길을 잡고 있습니다.꽃무릇은 잎은 없고 50cm 정도로

위로 곧게 뻗은 꽃대 끝에 5~7 송이의 붉은 꽃송이가 우산을 펼치듯 피어나는데

열매를 맺지 않고 알뿌리로 번식 합니다. 꽃은 향기가 없는데요 이는 열매를

맺지 않다 보니 꽃가루받이를 위해 곤충을 유인할 필요가 없기 때문일 겁니다.

10월초 꽃이 지고 나면 잎이 돋아나서 겨울을 나는데 4~5월께에는 흔적도 없이

자취를 감추어 버립니다. 그렇게 여름을 나고 9월 초가 되면 알뿌리에서 굵은

꽃대가 올라와 다시 풀잎 없는 꽃을 피워냅니다. 꽃이 필 때는 잎이 없고, 잎이

필 때는 꽃이 없다보니 사람들은 잎과 꽃이 서로를 그리워하지만 만나지

못하는 슬픈 꽃이라고 생각해서인지 같은 수선화과에 속하는 상사화(相思花)와

혼용해서 부르기도 합니다.하지만 상사화는 여름에 피는 꽃이고 꽃무릇은

가을꽃이며 꽃색도 상사화는 분홍색인데 비해 꽃무릇은 강렬한 붉은색입니다.

예로부터 꽃무릇을 사찰에서 많이 심어왔습니다. 이는 사찰에서 불경을 제본

하거나 서화나 탱화를 만들려면 접착제가 많이 필요한데, 꽃무릇의 알뿌리에는

양질의 전분이 많아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입니다. 그러다보니 꽃무릇을

절꽃 또는 중꽃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꽃무릇은 절에서 많이 재배하다보니

불공을 드리러 오는 신자들이 죽은 사람을 그리워하는 추모의 의미로 생각

해서인지 꽃말이 ‘슬픈 추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