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가을 꽃65 금낭화 며느리주머니 등모란 금낭화 며느리주머니 등모란현호색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4-5월에 핀다 아치형으로 활대처럼 곧게 뻗은 꽃대에 아이들 복주머니 모양의 진분홍색 꽃들이 주렁주렁 달려있는 꽃이다.꽃 모양이 옛날 며느리들이 차고 다니는 주머니를 닮았다 하여 며느리주머니 라고도 부른다. 어찌 보면 말괄량이소녀 ‘삐삐’의 머리를 닮은 것 같기도 하다.자생화 중 비교적 꽃이 크고 화려하여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이며 식물체가 경화되기 전에 채취하여 삶아서 말린후 묵나물로 이용한다. 근경(根莖)을 荷包牡丹根(하포모단근)이라 하며 약용한다.뿌리로 즙을 내어 술에 타 마시면 매우 醉(취)하는데 이것은 金瘡(금창)의 聖藥(성약)이다.금낭화의 꽃말은 ‘당신을 따르겠습니다’인데 꽃의 모양을 잘 보면 땅을 향해 고개를 숙이고 있어 겸손과 순종을 나.. 2024. 11. 3. 강원도 철원 고석정의 아름다운 꽃밭 강원도 철원 고석정의 아름다운 꽃밭고석정은 철원 9경 중 한 곳으로 한탄강 중류에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강 중앙의 고석(孤石)과 정자 및 그 일대의 현무암 계곡을 총칭하여 부르기도 합니다. 일대는 현무암 용암대지 형성 이전의 지형과 함께 현무암질 용암이 기반암 위로 흘러 용암대지를 형성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질·지형 학습장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죠.고석정은 가을 시즌이 다가오면 절벽과 바위, 그리고 그와 함께 어우러진 단풍잎들이 장관을 이뤄 수많은 관광객이 쏜살같이 모일 정도로 인기가 많습니다. 또한 고석정 주변에서는 카약, 트레킹, 래프팅 등 한탄강을 따라 다양한 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어 철원에서 힐링의 시간을 즐길 수 있는 최적의 명소입니다.철원 고석정 꽃밭은 화사합니다. 2024. 9. 8. 충남 부여군 사랑의 연 서동과 선화의 만남 궁남지 연꽃축제 ~2 충남 부여군 사랑의 연 서동과 선화의 만남 궁남지 연꽃축제 ~2부여 궁남지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백제 시대의 연못이다. 『삼국사기』에 의해 백제 무왕 35년(634)에 궁궐 남쪽에 만든 것이라 하여 궁남지 라고 한다.『삼국유사』에는 무왕의 어머니가 궁남지의 용과 정을 통하여 무왕을 낳았다고기록 되어 있다. 궁남지는 백제가 멸망한 뒤에는 훼손되어 연못 주변은 농지로이용되었다. 현재 연못 주변에는 우물과 몇 개의 주춧돌이 남아 있다. 궁남지는우리나라에서 현재 알려진 가장 오래된 궁궐 연못이다. 조성 기록이 명확하고백제의 조경 기술 수준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사랑의 연, 서동과 선화의 만남 연꽃 화원에 피어난 사랑 이야기를 간직한 스물두 살 연꽃 화원에서 펼쳐지는 형형 색색의 야간 경관과.. 2024. 7. 14. 충남 부여군 사랑의 연 서동과 선화의 만남 궁남지 연꽃축제 ~1 충남 부여군 사랑의 연 서동과 선화의 만남 궁남지 연꽃축제 ~1 부여 궁남지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백제 시대의 연못이다. 『삼국사기』에 의해 백제 무왕 35년(634)에 궁궐 남쪽에 만든 것이라 하여 궁남지 라고 한다. 『삼국유사』에는 무왕의 어머니가 궁남지의 용과 정을 통하여 무왕을 낳았다고 기록 되어 있다. 궁남지는 백제가 멸망한 뒤에는 훼손되어 연못 주변은 농지로 이용되었다. 현재 연못 주변에는 우물과 몇 개의 주춧돌이 남아 있다. 궁남지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알려진 가장 오래된 궁궐 연못이다. 조성 기록이 명확하고 백제의 조경 기술 수준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사랑의 연, 서동과 선화의 만남 연꽃 화원에 피어난 사랑 이야기를 간직한 스물두 살 연꽃 화원에서 펼쳐지는 형형 색색의.. 2024. 7. 14. 전라남도 조선 대학교 장미원 전경 전라남도 조선 대학교 장미원 전경봄의 시작을 알리는 벚꽃이 서서히 지고 ‘장미의 계절’ 5월이 찾아왔다.광주에서도 매년이맘때면 싱그러운 장미 향이 퍼지는 곳이 있다.바로 조선대학교 장미원이다.조선대는올해도 장미축제를 연다.오는 16일부터 20일까지를 장미 주간으로 설정하고 봄 춘랑객들을 맞이한다.최근 찾은 장미원에는 장미들이 약 50% 정도 개화했다.장미 주간이 아직시작되지 않았지만 평일 낮에도 장미를 보기 위해 방문한 사람들로 벌써부터 복작복작했다.장미 산책길과 분수대를 따라 걷다 보면 다양한 장미를 만날 수 있다.피스, 로라, 루스티카나,자뎅 드 프랑스, 블루바조, 프루이트, 잉카 등 그 종류만 해도 240여종에 1만8000여 그루가심어져 있다.여러 종류의 장미를 팻말로 일일이 설명하고 아기자기하게 .. 2024. 6. 30. 충청남도 부여 궁남지 연꽃 축제 충청남도 부여 궁남지 연꽃 축제궁남지는 신라 선화공주와 결혼한 무왕의 서동요 전설이 깃든 곳이다.삼국사기에 “백제 무왕 35년(634) 궁의 남쪽에 못을 파 20여리 밖에서 물을 끌어다가 채우고, 주위에 버드나무를 심었으며, 못 가운데는 섬을 만들었는데 방장선산(方丈仙山)을 상징한 것”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로 보아 이 연못은 백제 무왕 때 만든 궁의 정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연못의 동쪽 언덕에서 백제 때의 기단석과 초석, 기와조각, 그릇조각 등이 출토되어 근처에 이궁(離宮)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못 가운데 섬을 만들어 신선사상을 표현한 궁남지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인공정원으로 백제의 노자공은 일본에 건너가 백제의 정원 조경기술을 전해주었다고 한다. 백제가 삼국 중에서도 정원을 꾸미는 기술이 뛰.. 2024. 6. 30. 전라남도 영암 월출산 기찬랜드 국화축제 국화과 국화속의 관상식물 전 세계 각국의 산과 들에서 난다 국화과 국화속의 관상식물. 전 세계 각국의 산과 들에서 난다. 잎은 어긋나고 갈라졌으며,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들이 있다. 꽃은 가을에 무리지어 핀다. 꽃색은 품종에 따라 노란색·흰색·주황색 등 다양하다. 2,000여 종이 넘는 품종들이 알려져 있는데, 크기에 따라서 대국·중국·소국으로 구분한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기며, 특히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사군자의 하나로 귀한 대접을 받아왔다. 관상식물로 널리 심고 있다. 줄기 아래쪽은 점점 단단해지며 키가 1m까지 자라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날개깃처럼 갈라졌으며 갈라진 조각의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들이 있다. 꽃은 가을에 두상꽃차례로 무리져 한 송이 꽃처럼 피나, 꽃이 피는 시기는 품종에 따라 조금씩.. 2024. 6. 2. 백합꽃 원산지는 중국 일본 대만 등의 아시아 이다 백합꽃 원산지는 중국 일본 대만 등의 아시아 이다 흰색 꽃을 피우는 나리속 여러해살이풀. 원산지는 중국, 일본, 대만 등의 아시아이다. 키가 1m까지 자라고 비늘줄기는 약간 납작한 공처럼 생겼다. 잎은 잎자루 없이 줄기를 감싸며 어긋난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서 2~3송이씩 옆이나 아래쪽을 향해 피며, 보통 향기가 있지만 품종에 따라 향기가 없는 것도 있다. 배수가 잘 되고 공기를 많이 함유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추위에 어느 정도 강하나 더위에는 약하다. 대부분 꺾꽂이 방식으로 번식시킨다. 꽃말은 순결·신성·희생이다. 백합과 식물 중에는 향신료나 향이 강한 식재료로 사용하는 식물이 많다. 파, 마늘,양파, 부추 등이 이에 속하는데, 과거의 크론키스트 분류 체계에서는 백합과로분류되었으나 현재는 A.. 2024. 4. 1. 으름덩굴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낙엽 덩굴식물 아시아가 원산지 으름덩굴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낙엽 덩굴식물 아시아가 원산지으름덩굴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낙엽 덩굴식물. 아시아가 원산 으름을 두고 사람들은 성적인 상상을 한다. 벌어지지 않은 열매는 발기한 남근을 상징하고,벌어진 다음에는 여성의 치부를 연상케 한다.임하부인이란 으름의 또 다른 이름은 옛사람들의 보는 눈도 지금의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았음을 말해준다.으름덩굴은 다른 나무를 감고 올라가면서 자란다.으름덩굴은 다섯 개의 달걀모양 잎이 모여 손바닥을 펼친 것 같은 겹잎을 만든다.으름덩굴은 암수 한 그루지만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며 보랏빛 꽃잎은 세 장인데, 수꽃은 가운데에 여섯 개의 수술이 잘라 논 밀감 모양으로, 암꽃은 가운데가 바나나처럼 6~9개의 암술이 방사상으로 붙어 있다. 암꽃 꼭지에는 달콤한 점착성의.. 2024. 4. 1.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