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찰162 작업 9 작업 9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 33~ 1번지 금호산 약사암 약사암은 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 말사로 금오산 정상 (金烏山 : 976m) 아래쪽에 자리한 암자로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하지만, 당시의 유적이 발견된 것은 아니며 현존하는 건물은 근래에 지어진 것이라고 한다.1618년(광해군 10) 간행된 일선지(一善誌)와 1799년(정조23) 편찬된 범우고(梵宇攷)에는 이 절이 고찰이었음을 알려주는 기록이 남아 있다. 1895년(고종 21)의 영남진지(嶺南鎭誌)에는 약사암에 관해 “법당은 8칸으로 성내(城內) 삼리(三里)에 있다” 라는 내용이 나온다.1935년 우상학이 지은 약사암중수기(藥師庵重修記)에는 본래 지리산에 있던 석불 3기 중 1기를 이곳 약사암으로 이안하고 나머지 2기를 김천 수도산 수도암.. 2025. 2. 2.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청량산 청량사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청량산 청량사경북 봉화군 심산유곡(深山幽谷)에 위치한 청량산 청량사(淸凉山 淸凉寺)는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로서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창건 이후 오랜 세월 동안 내력은 전해지지 않으며 고려말 송광사 16국사 중 한명인 고봉선사가 중건했다.청량산(淸凉山)은 최고봉인 장인봉(870m)을 비롯하여 800m 내외의 12개 암봉이 있다.중생대 백악기에 퇴적된 암석들이 오랜 세월 융기, 풍화, 침식 등을 거치 면서 다양한 지형 을 만들고 있다.청량사(淸凉寺)가 품고 있는 산(山)은 금계포란형 (禽鷄抱卵形)이어서 중심지에 조성된 석탑이 안정적이면서 주위 산세와 어울려 가히 절경이다.청량사 경내의 유리보전(경북 유형문화재 제47호)은 정.. 2025. 2. 2. 대구 달성군 유가읍 비슬산 대견사 대구 달성군 유가읍 비슬산 대견사창건자는 미상이나,신라 흥덕왕 때 창건된 사찰이라고 전한다.전설로는 당문종(文宗)이 절을 지을 곳을 찾고 있었는데 하루는 낯을 씻으려고 떠놓은 대야의 물에 아주 아름다운 경관이 나타났다. 이곳이 절을 지을 곳이라 생각한 문종은 사신을 파견하여 찾게 하였다. 결국 중국 에서는 찾을 수 없게 되자 신라로 사람을 보내어 찾아낸 곳이 이 절터이다. 이 터가 대국(大國)에서 보였던 절터라 하여 절을 창건한 뒤 대견사라 했다고 한다.창건 이후의 역사는 거의 전래 되지 않고 있지만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이 승과 선불장에 장원급제한 뒤 초대 주지로 부임해 22년 동안 지냈으며 이 곳에서 삼국유사를 구상했다고 한다. 1416년(태종 16년) 2월 29일, 1423년(세종 5년) 11월 29.. 2024. 12. 8. 대구 달성군 옥포읍 반송리 비슬산 용연사 대구 달성군 옥포읍 반송리 비슬산 용연사914년(신덕왕 3)에 보양화상(寶壤和尙)이 창건하였고, 1419년(세종 1)에 천일(天日)이 중건하였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자 1603년(선조 36)에 사명대사(四溟大師)가 인잠(印岑) · 탄옥(坦玉) · 경천 (敬天) 등에게 명하여 중창하도록 하였다.1621년(광해군 13)에 범종각을 건립하였고, 1650년(효종 1)에는 불이 나서 법당과 요사 등이 모두 소실되었다. 다음해 계환(戒環) · 여휘(麗輝) 등이 설선당(說禪堂)과 심검당(尋劍堂)을 건립하였고, 그 다음해에는 일언(一彦)과 학신(學信)이 동상실(東上室)과 서상실 (西上室)을 건립하였다.1653년에는 홍묵(弘默)이 대웅전을, 승안(勝安)이 명부전을 건립하였으며, 다음해에는 일주(一珠)가 만월루(滿月樓)를.. 2024. 11. 17. 대구시 달성군 유가읍 양리 비슬산 유가사 대구시 달성군 유가읍 양리 비슬산 유가사 대구시 달성군 유가읍 144번지에 위치한 읍.동쪽으로 비슬산을 경계로 청도군과 북쪽으로 가창면,논공읍,서쪽으로 현풍읍, 구지면, 현풍읍, 남쪽으로 경산남도 창년군이 있다.비슬산에 있는 유기사 (瑜伽寺)에서 유래하여 유가(瑜伽)읍이라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원래 달성군의 읍/면들 중 가장 인구가 적었다. 2010년 12월 기준 2,977명. 그러다가 대구 테크노폴리스의 개발로 인구가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2015년 기준으로 하빈면을 뛰어 넘었다. 하빈면은 그린벨트가 많아 개발에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대구시 테크노폴리스의 조성 후 하빈면은 달성군에서 가장 교통이 불편하고 낙후된 동네로 전락했다.2012년 이곳의 인구는 2,000여명 남짓에 불과했지만, 2016년 대구테.. 2024. 11. 17.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화암사 禾巖寺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화암사 禾巖寺 화 암 사 : 지금으로부터 1천 2백여 년 전인 769년(신라 혜공왕 5), 우리나라에 참회 불교를 정착시킨 법상종의 개조 진표율사에 의해 중창되어 내려오는 화암사는 남쪽에서 보면 알고가 야할 상황은 미시령은 예부터 미시파령 이라 하였고 미시파령(彌時坡嶺)에서 시작하는 금강산 일만이천봉 제1봉이 신선봉이며 산아래 금강산 화암사(金剛山 禾巖寺)가 자리하고 있다, ‘라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으로 남아있다. 하여 지금은 국립공원 설악산군에 포함되어 있지만 미시령 북쪽 상봉-신선봉-병풍바위-마산-진부령은 금강산군임을 밝힌다. 대관령-구룡령-한계령-미시령-진부령은 예부터 화암사는 금강산이 시작되는 신선봉 바로 아래에 세워져 금강산의 남쪽 줄기에 닿고 있기 때문에 '.. 2024. 11. 17. 충청남도 예산군의 덕산면 덕숭산 수덕사 충청남도 예산군의 덕산면 덕숭산 수덕사충청남도 예산군의 덕산면 덕숭산에 자리잡은덕숭산 수덕사입니다 창건시기에 대해서는 기록이 전해지지 않도 있지만 백제시대 위덕왕 당시 고승 지명이 최초로 세웠가고 추정됩니다 제30대 왕인 무왕 당시에 혜현이 묘법연화경을 이곳에서 강설하여 유명해진 절집으로 고려 시대 제31대 왕인 공민왕 당시 나옹이 중수를 하였습니다 일설로는 신라시대 진평왕 21년 당시 지명이 창건을 하였으며 원효가 중수를 했었다 라고도 전해집니다 조선시대 제26대 왕인 고종2년에 들어와 만공이 중창을 하였으며 이후로 선종 유일의 근본도량이라고 손꼽힙니다 수덕사의 대웅전은 국내에 햔존하는 목조건물 중에서는 봉정사의 극락전 국보 제15호와 국보 제 18호인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 다음으로 오래된 건축물로.. 2024. 10. 13. 전라남도 광주시 대표 적인 불교 도량 무등산 증심사 전라남도 광주시 대표 적인 불교 도량 무등산 증심사증심사는 광주지역의 대표적인 불교도량으로 무등산 서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통일신라 때 고승 철감선사 도윤이 9세기 중엽에 세운 절로 고려 선종 때(1094년) 혜소국사가 고쳐 짓고 조선 세종 때 김방이 삼창하였는데 이때 오백나한의 불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09년(광해군 1)에 석경·수장·도광의 3대 선사가 4창했다고 한다. 그 후 신도들의 정성으로 몇 차례 보수가 이루어졌으나, 6 ·25 전쟁 때 많은 부분이 소실되었다가 1970년에야 대웅전을 비롯한 건물들이 복구되었다.증심사의 유물로는 오백전과 비로전(사성전)에 봉안된 철조비로 자나불 좌상(보물), 신라 말기의 석탑인 증심사 삼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범종.. 2024. 9. 8. 전라남도 영광궁 불갑면 모악리 불갑사 전라남도 영광궁 불갑면 모악리 불갑사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白羊寺)의 말사이다. 1741년(영조 17) 이만석 (李萬錫)이 쓴 사적비에 의하면 창건연대는 미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일설에는 384년 (침류왕 1)에 행사존자(行士尊者)가 창건하였다고 하였는데, 행사존자는 마라난타 (摩羅難陀)의 다른 이름이다.이 설을 따르면 마라난타가 백제에 불교를 전래한 뒤 최초로 세운 절이 되는데, 마라난타가 불갑사 부근의 법성포(法聖浦)를 통하여 들어왔으므로 다소 신빙성이 있다. 그러나 또 다른 기록에 의하면 문주왕 때 행은(幸恩)이 창건하였다는 설도 있다. 이 절이 크게 번창한 것은 고려의 진각국사(眞覺國師)가 머무르면서부터이다.당시 이 절에는 수백 명의 승려가 머물렀고, 사전(寺田)이 10리에 미.. 2024. 9. 8. 이전 1 2 3 4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