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사찰162

내설악 백담사 내설악 백담사대한 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이다.647년(진덕여왕 1)에 자장 창건한 한계사로부터 기원되어 여러 차례 화재 피해를 거치면서 ‘운흥사’, ‘심원사’, ‘선구사’ 등으로 개칭되어 새로 지어졌다.1455년(세조 1)에 중건하면서 백담사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한용운이 머물면서 〈님의 침묵〉, 〈불교유신론〉을 집필하면서 만해사상의 산실이 되었다.6·25전쟁 때 불탄 것을 1957년 중건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1988년 11월 23일 전두환 전대통령 내외가 이 절에 은거한 것을 계기로 일반에 알려지게 되었다.현존 당우로는 대웅보전·칠성각·선원·요사채 등이 있고, 자장의 유물로 전하는 아미타상과 소종, 인조의 하사품인 옥탑, 설담당 부도, 연포당 부도 등이 있다.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2023. 2. 26.
강원도 백 담 사 의 찾아서 강원도 백 담 사 의 찾아서백담사(百潭寺)는 신라 진덕 여왕 원년(674)에 자장율사가 설악산 한계사로 창건 했다 설악산 대청봉에서 내려오는 계곡에 작은 담(潭)이 많은데 그 중 100번째가 되는 지점에 절을 세웠다 하여 백담사라 불리었다 한다 오랜만에 백담사를 찾았습니다.주차장에 서  셔틀버스 타고 가야만 하는곳 계곡길 을 굽이 굽이 곡예 운전 하시는 기사님 의 운전 실력에 감탄 하고 비도 많이 내렸는데 물은 줄어 있네요.맑고 깨끗한 깊은 계곡과 주변 경관이 참으로 아름다웠습니다. 2023. 2. 26.
경남 산청군 신등면 대성산 정취암(淨趣庵) 경남 산청군 신등면 대성산 정취암(淨趣庵) 산청 정취암은 산청 제8경으로 대성산의 해발 450m 기암괴석 절벽 사이에 파고든 신비한 아담한 사찰로 신라 신문왕 6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바위 끝에 서서 올라온 길을 되돌아보니 무섭기도 하지만, 시원함과 함께 적막과 고요속에 온갖 번뇌를 잊고 속세를 벗어난 느낌이다. 2023. 1. 15.
충남 서산 간월도 간월암과 간월항 충남 서산 간월도 간월암과 간월항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 위치한 간월도와 간월암을 둘러봅니다 간월도는 천수만 내에 있는 작은 크기의 섬이였으나 지금은 간척공사로 육지화가 되어있는 이름만 섬입니다 이런 간월도의 끄트머리에 아주 조그만 새끼섬이 하나가 딸려 있습니다 이곳에는 간월암이란 암자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곳에는 하루 2차례의 조수간만에 차이로 바닷물이 빠져 나가면 바닷길이 열려 걸어서 드나들수 있는 길이 드러납니다 하지만 만조시에는 바다위에 떠있는것 처럼 보이는 특이한 간월암입니다 조선 초기에 무학대사가 창건하였습니다 또한 이곳은 서해안의 일몰명소로 손꼽습니다 간월암의 입구쪽의 간월항은 예로부터 어족자원이 풍부한 항구로 어리굴젓이 유명합니다 2022. 12. 25.
경북 경주 배동 삼불사 경주 배동 망월사 경북 경주 배동 삼불사 경주 배동 망월사 경주 배동에 위치한 삼불사와 망월사릏 함께 둘러봅니다 먼저 삼불사에는 대웅전과 산신각 그리고 보물 제 63호인 경주 배동 석조 여래 삼존입상이 있습니다 이는 삼국시대의 작푼으로 추정합니다 경주 남산 기슭에 각기 흩어져 있던 석상들과 석재들을 1923년에 현재의 삼불사가 있는 자리에 모아서 세워 놓았습니다 또한 삼불사의 바로 앞쪽에 자리한 망월사는 경주시 배동에 위치한 대한불교원효종 사찰입니다 망월사는 원효종에서 중요한 사찰로 손꼽힙니다 1967년에 망월사가 총본원이 되었고 1977년애 대한불교원효종이 되었습니다 이곳은 경주IC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합니다 주변으로는 동궁과월지 그리고 첨성대와 국립경주박물관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2022. 12. 25.
경북 청송 주왕산 주왕암,주왕굴,대전사 경북 청송 주왕산 주왕암,주왕굴,대전사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에 있는 대전사의 산내 암자인 주왕암과 주왕굴 그리고 주왕산국립공원 입구에 위치한 대전사까지 함께 살펴봅니다 주왕암의 건립 시기는 통일신라시대 혹는 조선시대에 건립된 대전사와 같은 시기로 추정합니다 하지만 대전사의 창건 시기도 672년 의상대사 창건설과 892년 낭공대사 창건설 그리고 919년 눌옹 창건설이 함께 전하고 있어 명확하지가 않습니다. 또한 이곳 주왕굴에 숨어있다가 죽은 동진(東晉)의 주왕(周王)을 기리기 위해 주왕암이라 부른다는 설화가 전합니다 또한 주암암 뒤편에 위치한 주왕굴의 명칭은 중국 당나라 당시에 진나라의 재건을 명분으로 반란을 일으켰던 주도(周鍍)가 자신을 주왕(周王)이라 칭하고 당나라 내의 반란이 실패한 뒤 신.. 2022. 12. 25.
경북 청송 가볼만한 곳 주왕산 용추협곡 용추폭포 경북 청송 가볼만한 곳 주왕산 용추협곡 용추폭포 주왕산 용추협곡과 용추폭포는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에 위치한 주왕계곡 일대에 형성된 협곡입니다 용추협곡은 양쪽의 곡벽이 급경사를 이루고 곡벽이 좁으며 깊은 계곡입니다 심한 하각작용에 폭에 비해 골이 깊으며 급한 곡벽의 골짜기를 말합니다 용추협곡은 주왕계곡을 따라서 형성되어진 협곡입니다 계곡 입구에 위치한 대전사 에서부터 북동 방향으로 용추폭포가 있는 곳까지 약 1㎞ 정도 이어지는 계곡입니다 용추(龍湫)의 유래는 용이 폭포에서 살다가 하늘로 승천하였다는 의미입니다 용추폭포는 총 3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폭포의 아래에는 큰 규모의 폭호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용추협곡이 있는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 일원은 2003년에 지정된 명승 제11호입니다 또한 청송 유.. 2022. 12. 25.
경상북도 청송군 의 주황산 경상북도 청송군 의 주황산경상북도 청송군과 영덕군에 걸쳐 있는 주왕산.태백산맥의 남단에 위치하는 주왕산 (722.1m)은 암벽으로 둘러싸인 산들이 병풍처럼 이어져 석병산(石屛山) 또는 주방산 (周房山)이라고도 한다.주왕산이라는 이름은 중국의 진나라에서 주왕이 이곳에 피신 하여 왔다고 해서 붙은 것으로 산봉우리, 암굴마다 주왕의 전설이 얽혀 있다.​주요 명소로는 신라 문무왕 때 창건한 고찰 대전사(大典寺)를 비롯해 주왕의 딸 백련 공주의 이름을 딴 백련암(白蓮庵), 청학과 백학이 둥지를 틀고 살았다는 학소대(鶴巢臺),앞으로 넘어질 듯 솟아오른 급수대(汲水臺),주왕과 마장군이 격전을 치렀다는 기암(旗巖),주왕의 아들과 딸이 달 구경을 했다는 망월대(望月臺), 동해가 바라다보이는 왕거암, 주왕이 숨어 살다가 .. 2022. 12. 11.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금산 보리암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금산 보리암금산 보리암은 경남 남해군 상주면의 상주리에 자리한 금산 남쪽방향의 봉우리에자리잡은 절집으로 신라 신문왕 3년에 원효대사가 이곳에 초당을 짓고서수도중에 관세음보살을 친견하였다고 전해지며 이후 산 이름을 보광산으로 초암은보광사로 불렀다고 합니다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보광사에서 백일기도중에 응답을 받아서 조선을 개국하였다고 감사의 의미로 현종 1년 이곳 보광사를 왕실의 원당으로 삼으면서 산의이름도 금산으로 바꾸었으며 절 이름도 보리암으로 변경하였습니다 1901년과 1954년에 각기중수가 있었으며 1969년에 중건을 거쳐서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한국의 3대 기도처로손꼽히며 속된말로 기도빨이 잘 받는 곳이라 말합니다 전하는 문화재는 보리암 앞에삼층석탑(경남유형문화재 74).. 2022.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