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사찰162

전북 완도군 소양면 위봉사 전북 완도군 소양면 위봉사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金山寺)의 말사이다. 이 절은 604년(무왕 5)에 서암대사(瑞巖大師)가 창건 하였다고 전한다. 하지만 1868년(고종 5)에 보련(布蓮)이 쓴 「극락전중건기(極樂殿重建記)」에 의하면 창건연대는 분명하지 않다고 전제한 다음, 고려 말기에 최용각(崔龍角)이라는 사람이 이곳에 와서 보니 세 마리의 봉황새가 절터를 에워싸고 싸움을 하므로 위봉사(圍鳳寺)라 하였다고 전한다.1359년(공민왕 8)에는 나옹 (懶翁)이 이 절의 주위가 처음 보는 경승지임을 알고 크게 중창하였는데, 당시의 규모는 28동이었고 암자도 10동이나 되는 대가람이었다. 1911년에는 선교31본산 (禪敎三十一本山)의 하나로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일원의 46개 사찰을 관할.. 2024. 3. 25.
아름다운 7월의 장미 꽃 서산 개심사 아름다운 7월의 장미 꽃 서산 개심사 충청남도 서산시의 개심사는 654년(백제 의자왕 14년) 혜감이 창건하여 원래 개원사라고 이름 지었다. 1350년(고려 충정왕 2년) 처능이 중건하면서 개심사로 개명하였다. 1475년 중창, 1740년 중수했으며, 1955년 전면 보수했다. 2024. 3. 25.
작업 6 작업 6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지리산 화엄사구례군이 현재 전라남도이기 때문에 화엄사가 백제와 연관된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이 많지만 화엄사는 신라 고승들이 창건하고 중창한 절이다. 오늘날의 구례와 광양, 순천 지역은 6세기까지 가야의 영토였고, 6세기 중반 신라 진흥왕이 가야의 전 지역을 신라에 완전히 병합하면서 이 지역도 신라에 편입되었다. 지금의 광주대구고속도로 경로를 따라 남원시에 있는 아막성까지 신라의 영역이었고 화엄사는남원에 인접한 지리산 자락의 길지에 지어졌다.이 지역을 신라에 편입한 진흥왕은화엄사를 세움으로써 해당 지역 주민들의 민심을 수습하면서 지배력을 강화하고,아울러 군사적인 목적으로도 활용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신라의 전통적인 정복지역 유화정책과 신라 불교 고유의 중요한 .. 2024. 3. 17.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양산 통도사 홍매화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양산 통도사 홍매화한국 3대 사찰의 하나로, 부처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있어 불보(佛寶)사찰 이라고도 한다. 사찰의 기록에 따르면 통도사라 한 것은, 이 절이 위치한 산의 모습이 부처가 설법 하던 인도 영취산의 모습과 통하므로 통도사라 이름했고(此山之形通於印度靈鷲山形), 또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이 계단(戒壇)을 통과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 했으며(爲僧者通而度之), 모든 진리를 회통(會通)하여 일체중생을 제도(濟道)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 이름지었다고 한다.이 절의 창건 유래에 대한 《삼국유사》의 기록을 보면 신라의 자장(慈藏)이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돌아와 신라의 대국통(大國統)이 되어 왕명에 따라 통도사를 창건하고 승려의 규범을 관장, 법식(法式).. 2024. 3. 17.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위봉산성 위봉폭포 위봉사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위봉산성 위봉폭포 위봉사전라북도 완주군의 소양면 대흥리에 위치한 조선 시대에 쌓은 산성으로 사적으로 지정된문화재입니다 위봉산 성과 위봉 폭포 그리고 성안에 위치한 위봉사도 함께 담아보았습니다위봉 산성은 1675년인 숙종 1년에 축성하였으며 순종 8년에 관찰사였던 이상황이 중수를하였습니다  유사시에 전주 경기전에 모셔진 태조의 영정및 시조의 위패를 옮겨 봉안하려는목적으로 건축되였습니다 이는 동학 농민 운동 당시 전주부성(全州府城)이 동학군에 의하여함락 되면서 태조의 영정과 시조의 위패가 피난했던 일이 있었습니다 당시에 전체 규모는너비 3m에 높이가 4m에서 5m이며 전체 길이는 16㎞입니다 서·동·북 방향에 3개 소의성문을 설치하였으며 8개의 암문을 두었으며 성 안에는 4개에서 .. 2024. 3. 10.
강원대 오대산 월정사와 전나무 숲길 강원대 오대산 월정사와 전나무 숲길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했다. 자장이 중국에서 유학하던 시절에 문수보살을 만난 뒤 다시 문수보살을 만나고자 정진하던 터라는 전설이 있다. 자장과 선덕 콤비는 황룡사 목탑을 만든 것으로 유명하다.그 뒤 고려 충렬왕 33년 (1307년) 화재로 절 전체가 타버린 것을 다시 재건했고, 조선 순조 33년(1833년) 또 다시 다 타버린 것을 헌종 10년(1844년)에 다시 중건했다. 2024. 3. 3.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 진현동 경주 불국사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 진현동 경주 불국사구름을 마시고 토한다 는 토함산(745m)의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불국사와 석굴암은 찬란한 신라 불교문화의 핵심으로 신라 법흥왕 15년에 그 어머니 뜻에 따라 나라의 안정과 백성의 평안을 위하여 세워졌으며, 그 후 신라 경덕왕 10년(751) 때 재상 김대성이 다시 지어 절의 면모를 새롭게 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건물은 물론 값진 보물들이 거의 불에 타거나 약탈되었다. 1920년 이전에는 일부 건물과 탑만이 퇴락한 채 남아 있었으나, 지속적인 원형복구 및 보수로 국보 7점을 간직한 오늘날 대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불국사에서 산등성이를 타고 약 3km (포장도로 석굴로는 9km)정도 올라가면 동양 제일의 걸작으로 알려진 여래좌상의 본존불이 동해를.. 2024. 3. 3.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 대로 236-54 봉령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 대로 236-54   봉령사 대한 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1208년(고려 희종 4) 원각(圓覺) 국사가 창건하고 성창사(聖彰寺)라 불렀다. 1400년대 초에 봉덕사(奉德寺)로 이름을 바꾸었고, 1469년 중수한 뒤 현재의 이름으로 고쳤다. 1979년 비구니 묘엄이 주지로 부임하고 1989년 도서관, 1991년에는 육 화당(六和堂)이라는 대강당을 지어 비구니 교육의 중심 도량이 되었다. 1999년 6월에는 봉녕 선원을 금강율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개원하였다.주요 건물로는 대적광전을 비롯하여 용화각· 약사 보전· 청운당· 향하당· 육 화당· 소요 삼장원 등이 있다. 약사 보전 내부에는 석조 약사여래 좌상과 석가모니 후불탱화, 신중탱화, 현황 탱화가 있으며, 이.. 2024. 2. 11.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덕숭산 수덕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덕숭산 수덕사충청남도 예산군의 덕산면 덕숭산에 자리잡은 덕숭산 수덕사입니다 창건 시기에 대해서는기록이 전해지지 않도 있지만 백제 시대 위덕왕 당시 고승 지명이 최초로 세웠가고 추정됩니다제30대 왕인 무왕 당시에 혜현이 묘법연화경을 이곳에서 강설하여 유명해진 절집으로 고려시대 제31대 왕인 공민왕 당시 나옹이 중수를 하였습니다 일설로는 신라 시대 진평왕 21년당시 지명이 창건을 하였으며 원효가 중수를 했었다 라고도 전해집니다 조선 시대 제26대 왕인고종 2년에 들어와 만공이 중창을 하였으며 이후로 선종 유일의 근본 도량이라고 손꼽힙니다수덕사의 대웅전은 국내에 햔존하는 목조건물 중에서는 봉정사의 극락전 국보 제15호와 국보제 18호인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  다음으로 오래된 건축 물로.. 2024.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