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찰162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남양주 운악산 봉선사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남양주 운악산 봉선사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의 봉선사길에 자리잡은 봉선사입니다 969년에 법인국사 탄문에 의해 창건이 되였으며 처음에는 운악사로 이름 붙혔습니다 그 후로 1조선시대 예종 1년에 정희왕후 윤씨가 광릉에 모셔진 세조를 추모할때 운악사를 89칸 규모의 절집으로 중창을 하면서 봉선사라 절집의 이름도 바꿉니다 명종 6년에는 교종에 수사찰이 되어 이곳 봉선사에서 승과시를 열었습니다 임진왜란때 불에타서 사찰이 소실이 되였고 이후로 수차례에 걸쳐 수축도 있었지만 6 ·25 한국전쟁 당시에 법당을 포함헌 14동에 150칸 절집 건물들이 또 다시 화재에 소실이 됩니다 이후로 화엄이 56년 범종각을 건립했고 1963년 운하당도 세웟습니다 1969년 에는 주지를 맡은 운허거 법당도 중건.. 2024. 1. 21. 충남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서산 상왕산 개심사 충남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서산 상왕산 개심사상왕산 개심사느 충남 서산시 운산면의 신창리 상왕산에 위치하고 있는 절집입니다 의자왕 11년에 혜감국사가 창건하여 개원사 라고 불러오다 이후1350년에 처능이 중창을 하면서 개심사로 이름도 바꾸었습니다 이후 조선시대 들어 성종 6년에에 도다시 중창을 하였습니다 이후 1955년에 보수를 거쳐 오늘에에 이르고 있습니다 보물 제143호로 지정이 된 대웅전과 충남 문화재 자료 제194호인 명부전과 심검당 이 있습니다 요사체로 쓰이는 심검당 건물에 보면 굽은 통나무를 원형의 모습 그대로를 기둥으로 사용 건축하여 그 자연스러운 건축미가 유명합니다 근래에 전면 진입부 석축 공사후에 자연스러움은 많이 사라져 개인적으로 안타깝습니다 또한 이곳 개심사는 사찰내에 왕 벚꽃나.. 2024. 1. 7. 충남 천안시 동남구 각원사길 남북 통일 기도처 천안 태조산 각원사 충남 천안시 동남구 각원사길 남북 통일 기도처 천안 태조산 각원사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의 각원사길 245에 자리한 태조산 각원사입니다 이 절집은 최근에 지어졌지만 상당히 큰 규모에 절집입니다 1977년에 남북 통일 기원을 하며 천안의 진산인 태조산에 지은 각원사는 천안의 12경 중에서 제6경으로 선정된 곳으로 봄이면 겹벚꽃도 아름다운 절집입니다 건립이 된 경위에는 재일교포인 각열거사 (覺列居士) 김영조(金永祚)가 남북 통일 기도처 미련을 위하여 시주를 하게된 일로인하여 남북 통일을 기원하는 절집을 건립을 하게 되었습니다 1975년 6월에 대불을 봉안하기위한 위원회를 구성 하였고 완성된 청동 대불은 높이가 15m이며 무게가 60톤에 달하는 청동 대불을 조성하게 됩니다 이후로 1977년에 태조산 각원사 .. 2024. 1. 7.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소백산 생태원 봉황산 부석사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소백산 생태원 봉황산 부석사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의 북지리에 자리 잡은 영주 봉황산 부석사는 신라시대 문무왕 16년(서기 676년)에 왕명을 받아 의상조사가 창건된 사찰 화엄종찰 봉황산 부석사에는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목조건물 중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인 무량수전을 비롯하여 국보 5점 그리고 보물은 6점 또한 도 유형 문화재가 2점이 전해옵니다 이는 여느 다른 절집에 비하여 많은수의 문화재로 부석사는 우리나라의 10대 사찰의 하나이며 대사가 당나라 유학 당시 당나라의 고종이 우리의 신라를 침략하려는 준비를 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여 이를 곧바로 신라의 왕에게 곧바로 알렸으며 그가 배우고 닦아온 화엄 교학을 펼치려고 귀국후에 이곳 영주 봉황산 부석사를 창건 하였습니다 이는 우리나.. 2023. 12. 31.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한국의 산지 승원 해남 대흥사 ~2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한국의 산지 승원 해남 대흥사 ~2 전남 해남군의 삼산면 구림리에 자리하고 있는 대흥사입니다 이곳은 대한민국의 국토 최남단인 땅끝 해남의 두륜산에 멋진 풍경속에 자리 잡은 절집으로 2009년에 국가 문화재인 사적 제508호로 지정 되였고 2018년에는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이란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가 된 세계적인 문화 유적인 대흥사의 창건은 426년인 구이신왕 7년에 신라의 정관존자에 의하여 창건이 되어 만일암이라 불렀습니다 508년에는 이름도 모르는 선행비구에 의하여 중건이 있었다는 만일암 고기에 기록이 전해집니다 또한 514년인 법흥왕 1년에 아도가 창건하였다는 죽미기의 기록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수많은 창건 설화가 전헤 오지만 신라 말의 창건을 유력하게 추정하고.. 2023. 12. 31.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소백산 희방사 희방폭포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소백산 희방사 희방폭포 영주 소백산 희방사는 643년(신라 선덕여왕 12) 두운조사가 소백산의 남쪽 기슭에 해발 고도가 850m 높이에 창건한 절집압니다 절 입구에서 부터 천연 자연림이 빽빽이 하게 우거져 있습니다 절집의 바로 밑으로는 내륙 지방에서 최대 규모의 폭포인 높이가 28m인 희방폭포가 위치하고 있습니다다 폭포밑의 계곡으로는 커다란 바위와 숲이 어우러져 펼쳐입니다 1568년(선조 1)에 새겨진 월인석보 1·2권에 판목이 보존되고 있었지만 6·25전쟁때 법당과 훈민정음 원판 그리고 월인석보 판목 이 불에타서 소실이 되었습니다 이후 1953년에 중건을 하여 오늘에 이릅니다 경내에는 희방사 동종(경북 유형 문화재 226)과 월인석보의 책판을 보존하고 있습니다 주변으로 소.. 2023. 12. 24. 군산시 중앙로1가 이성당 빵집 일본식 사찰 월명산 동국사 군산시 중앙로1가 이성당 빵집 일본식 사찰 월명산 동국사 군산시 중앙로1가에 위치한 이성당빵집은 현존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빵집입니다 또한 금광동에 위치한 일본식 사찰인 월명산 동국사는 1909년에 일본인 승려들이 들어와서 창건을 하였으며 일본인 승려들이 운영 했었던 절집으로 일제 강점 시기였던 36년간을 일본의 절집이 였었지만 우리나라가 1945년 8월 15일에 해방을 맞으면서 우리나라의 품에 돌아온 아픈 역사와 함께한 절집으로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월명산 동국사는 유일한 일본식의 절집 건축물로 남아서 전해집니다 이곳은 대웅전전과 요사채 사이를 일본식의 복도로 연결하여 실내로 오가는 것이 특징이며 아무런 장식도 없는 처마와 대웅전의 외벽에 창문이 많아 일본색이 확연히 드러나는 건축물입니다 이라한 .. 2023. 12. 24. 서울 은평구 진관동 삼각산 진관사 서울 은평구 진관동 삼각산 진관사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354번지에 위치한 진관사입니다 이곳은 동쪽의 불암사와 서쪽의 진관사 남쪽의 삼막사와 북쪽의 승가사와 더불어 예로부터 서울 근교에서 4대 명찰로 손꼽히는 절집입니다 진관사(津寬寺)는 고려 제 8대 현종(顯宗)원년에 현종은 진관대사(津寬大師)를 위하여 창건을 하였다고 전합니다 조선을 건국했던 태조 이성계의 명으로 조종선령(祖宗仙靈)과 순국충열(殉國忠烈)과 희생을 당하였던 고려 왕씨의 넋을 위로하려고 수륙사(水陸社)를 설치하여 봉 가을로 수륙대재(水陸大齋)를 장엄히 지내 왔었습니다 세종 당시에는 집현전 학사를 위한 독서당을 진관사에 지어서 성삼문과 신숙주와 박팽년 같은 선비들의 독서를 장려하였다고 합니다 이후 한국 동란 당시에 공비소탕을 하면서 진관.. 2023. 12. 17.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3번지 견성암(見聖庵)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3번지 견성암(見聖庵)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3번지, 천마산 자락에 있는 견성암(見聖庵)을 찾았습니다. 청정도량 이란 이를 두고 하는 말 같습니다. 천마산 자락의 깊은 숲에 둘러 싸여 마치 강원도의 심심 산골, 깊은 오지에 있는 느낌이 드는데 겨울 임에도 따스한 햇볕속에 남향으로 자리한 모습이 정갈하기 이를데 없네요.견성암이 자리한 곳에는 후삼국 말기에 '바우'라는 현자가 살던 곳인데 왕건의 간곡한 요청으로 신라 정벌에 참여하여 고려를 개국하는데 큰 공을 세웠으므로 개국 공신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봉하고'맹(孟)'이라는 이름 까지 받았으니 바로 풍양 조씨(豊壤趙氏)의 시조가 됩니다. 그후 고려 중엽인 1,200년경 풍양 조씨 후손 들이 시조 조맹 시중(趙孟 侍中)을 기리기 위해.. 2023. 12. 17. 이전 1 2 3 4 5 6 7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