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 9
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 33~ 1번지 금호산 약사암
약사암은 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 말사로 금오산 정상 (金烏山 : 976m) 아래쪽에 자리한
암자로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하지만, 당시의 유적이 발견된 것은 아니며 현존하는 건물은
근래에 지어진 것이라고 한다.1618년(광해군 10) 간행된 일선지(一善誌)와 1799년(정조23)
편찬된 범우고(梵宇攷)에는 이 절이 고찰이었음을 알려주는 기록이 남아 있다. 1895년(고종 21)의
영남진지(嶺南鎭誌)에는 약사암에 관해 “법당은 8칸으로 성내(城內) 삼리(三里)에 있다” 라는
내용이 나온다.1935년 우상학이 지은 약사암중수기(藥師庵重修記)에는 본래 지리산에 있던
석불 3기 중 1기를 이곳 약사암으로 이안하고 나머지 2기를 김천 수도산 수도암(修道庵)과 황악산
삼성암(三省庵)으로옮겨 봉안했다고 적고 있다.약사암의 약사전 내부에는 석조여래좌상이 봉안
되어 있고 그 좌우로 일광, 월광보살이 협시보살로 있다. 불상 뒤편에는 후불탱화가 걸려있다.
약사암에서 북쪽으로 약 300m 지점에 있는 바위에는 고려시대에 조성한 높이 5.5m의 금오산
마애보살입상(보물 : 1968년 지정)이 조각되어 있다.예전에 이미 답사한 바 있고 빙판길로 도저히
내려가기 힘든 관계로 이번 답사길에는 친견은 생략했다.약사암 석조여래좌상은 화강암 1석으로
조성된 높이 95cm의 중형 석불좌상이다. 현재 전면이 두껍게 개금(蓋金)되어 있어 조성 시기를
판단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불상의 머리에는 소라 모양의 머리칼 장식인 나발(螺髮)이 표현되어
있다. 머리 위에는 육계가 솟아 있으며 육계 정상에는 낮은 원통형 모양의 정상계주(髻珠)가 있다.
정상 계주 앞에는 반원형의 중앙계주(髻珠)가 크게 조성되어 있다.정상계주는 육계(肉髻) 나발
사이에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머리 위에 돌출되게 표현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후보된
것으로 보인다. 이마에는 백호가 돌출되어 있고 상호는 옅은 미소를 짓고 있는 형태이다.볼과 턱에
살이 붙어 있어 후덕한 인상을 풍긴다. 목에는 삼도가 선명하게 표현되어 있다. 법의는 통견을 입고
있으며 가슴에는 왼쪽 어깨에 걸쳐 비스듬히 내려뜨려 가슴을 가리고 오른쪽 겨드랑이를 감는 옷인
승각기(僧却崎)를 입고 있다.오른손은 무릎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으며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향한 채 결가부좌한 다리 가운데에 올려 놓았다. 현재 왼손
위에는 약함(藥函)이 올려져 있는데 이것은 근래에 올려 놓은 것이다.1960년대의 사진에 의하면
원만한 상호에 완전한 형태의 석가여래상임을 알 수 있다. 약사암 석조 여래좌상은 현재 두껍게
개금된 상태인데 조선시대 불상의 특징이 많이 보인다. 하지만 살이 오른 얼굴임에도 방형(方形)
으로 표현되지 않았으며 승각기가 수평이 아닌 사선으로 내려온 점 등은 조성 시기가 조선 시대
보다 더 올라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특징이다.이러한 점에 주목하면 이 불상은 고려
시대에 조성된 석불일 가능성이 크다. 약사암 석조여래좌상은 영남지역의 석불 연구에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불상이다.
약사암 일주문 : (동국제1문)
일주문을 지나, 고무매트로 깔린 탐방로는 약사암까지 가파르게 고도를 떨어뜨린다.
서서히 약사암이 보인다.
삼성각쪽에서 일주문을 올려보니 계단이 참으로 많다.
삼성각 앞쪽 의상대사 동상...
금오산 약사암(金烏山 藥師巖)...
중앙의 석조여래좌상께 삼배를 올리고, 악조건 하에서 부처님을 친견함에 감사드리며
그동안 살아오면서 나로 인해 불편했던 모든 분들에게 속죄의 참회진언(懺悔眞言)을 올렸다.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
암봉에 자리잡은 종각(鐘閣)...
약사암의 백미인 절벽 위 종각(鐘閣)...
예전에는 종각까지 걸어갈 수 있도록 개방했는데 위험해서인지 출입구가 잠겨있다.
약사암 종무소...
약사암에서 내려본 금오저수지와 구미시내 전경...
약사암 의상대사 동상과 삼성각...
천 길 낭떠러지에 자리잡고 있는 천년 고찰 약사암 전경...
약사암 수호견(守護犬)이 오수(午睡)에 졸고 있다. 귀여워...
설산(雪山)인 금오산 약사암 암자 순례를 마치고 하산함.
'국내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청량산 청량사 (1) | 2025.02.02 |
---|---|
대구 달성군 유가읍 비슬산 대견사 (3) | 2024.12.08 |
대구 달성군 옥포읍 반송리 비슬산 용연사 (1) | 2024.11.17 |
대구시 달성군 유가읍 양리 비슬산 유가사 (2) | 2024.11.17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화암사 禾巖寺 (0) | 202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