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름 가을 꽃65

공조팝 나무 석봉자 낙엽 떨기 나무로 중국 원산이다. 공조팝 나무 석봉자 낙엽 떨기 나무로 중국 원산이다. 공조팝나무(석봉자) 장미과 조팝나무속 낙엽 떨기나무로 중국 원산이다.꽃은 4-5월에 가지 끝의 공처럼 생긴 산형 또는 산방꽃차례에 피며 꽃차례가 가지에 산방상으로 나열되어 마치 작은 공을 쪼개어 나열한것 같아 공조팝나무라고 한다.잎 양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1.0-1.5cm이다.꽃잎은 5장이며, 원형이다. 열매는 골돌이며, 5개, 털이 없다.줄기는 뿌리에서 무더기로 나와 덤불처럼 보이나 가지 끝부분이 활처럼 구부러지며 일년생가지는 털이 없고 적갈색이며 나무껍질은 가로로 벗겨져 떨어진다.열매는 골돌이며 5개로서 털이 없고 7-9월에 성숙한다.꽃말 : 노력하다,노련함 2024. 4. 1.
희망과 평화의 꽃 리빙스턴데이지 남부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다 희망과 평화의 꽃 리빙스턴데이지 남부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다 리빙스턴 데이지  석류풀과에 속한 한해살이풀로 남부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다.선명하고 다양한 색의 꽃이 피어 원예 식물로 인기가 좋다.국화과 꽃과 닮아 데이지(Daisy)라 불리지만, 실제로는 번행초과 도로테안터스속(Dorotheanthus) 식물이다.번행초과의 송염국 (사철채송화)처럼 즙이 많은 다육질 잎을 가지고 있다.원줄기는 땅으로 뻗으며 잎은 주걱 모양이고 겉에 수포가 있다으며 5~6월에 채송화와 비슷한 꽃이 피며 꽃색은 흰색, 크림색, 노란색, 주황색, 분홍색, 자주색, 자홍색, 빨간색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꽃잎은 색과 관계없이 매끈한 광택이 있다.  꽃말 : 희망, 평화, 평등, 인내 2024. 4. 1.
정열 적인 사랑 비에 젖은 빨간 장미 정열 적인 사랑 비에 젖은 빨간  장미빨간장미 내 사랑은 빨간, 빨간 장미를 닮았네 오래전부터 장미는 아름다움, 우아함, 낭만적인 사랑의 상징이었다. 장미는 기만과 위험을 나타내기도 한다.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빨간 장미를 바치는 화려하고 담대한 행동에는 아주 오랜 역사가 담겨져 있다.전설에 의하면 빨간 장미는 이브(Eve)가 에덴동산에 피어있는 흰 장미에 입을 맞추었을 때 생겨났다고 한다. 하지만 다른 전설에서는 빨간 장미가 고대 로마 시대에 이성 간의사랑을 관할하는 신인 큐피드(Cupid)의 피가 흰 장미에 뿌려져서 생긴 것이라고 한다.빨간장미 꽃말 : 아름다움, 열정, 욕망, 사랑 "당신을 열정적으로 사랑합니다" 2024. 4. 1.
작약 산적자 물레나물목 작약과 여러해살이풀로 중국이 원산지다 작약 산적자 물레나물목 작약과 여러해살이풀로 중국이 원산지다작약(산적자, 芍藥) 물레나물목 작약과 여러해살이풀로 중국이 원산으로 원종은 약 30여종이 분포하는데, 주로 유럽, 아시아 동부, 북미 등 초원에 자생한다.사랑하는 님을 따라 꽃이 되어버린 공주의 혼이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기품을 가진 꽃이 되었다. 먼저가신 님은 모란이 되었고 그 옆에 남아있게 해달라고 빌어서 작약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온다.누구나 좋아하는 서양의 꽃이 장미라면 그에 대적할만한 동양의 꽃으로 볼 수 있다.작약을 함박꽃이라 하는데 목련과 산목련, 모란과 작약을 함박꽃이라 한다.꽃은 5-6월에 피고 백색 또는 분홍 적색이며 원줄기 끝에 큰 꽃이 1송이씩 달리고 꽃잎은 10개정도다.작약의 잎을 따서 잘게 썬 다음 끓여서 .. 2024. 4. 1.
등나무 콩 과에 속하는 속 씨 식물로 한국이 원산지이다 등나무 콩 과에 속하는 속 씨 식물로 한국이 원산지이다 등나무 콩과에 속하는 속씨식물로 한국이 원산지이다. 꽃은 4~5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며, 꽃말은 ‘사랑에 취함’이다.예쁜 꽃으로 향기도 좋고 쉼터의 단골손님으로 친숙한 나무다.유사종으로는 흰 꽃이 피는 백등나무, 겹꽃이 피는 겹등나무 등이 있다.등, 참등, 자등 등의 이름이 있고 덩굴을 자세히 보면 오른쪽으로만 감겨 올라간다.열매는 초가을에 익으며 가지는 밤색이며, 잎은 어긋나게 자라나 마치 날개처럼 보인다.이전에는 섬유나 종이 등을 만드는 데 쓰였지만 현재는 거의 쓰지 않고,주로 집안의 마당이나 공원에 조경수로 심는다.경상북도 경주시 견곡면 오유리, 부산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 뜰에서 자라는 등나무는 각기 천연기념물 제.. 2024. 4. 1.
죽단화 겹황 매화 낙엽 활엽 떨기 나무로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죽단화 겹황 매화 낙엽 활엽 떨기 나무로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죽단화(겹황매화)  중부 이남에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겹꽃이다. 음지와 양지를 가리지 않고 잘 자라고 생장이 빠르고 추위와 공해에도 강하며 습기가 많고 비옥한 식양토 및 사양 토가 적당하다. 가지 뿌리에서 많이 나와 모여나기하며 일년생가지는 녹색으로 능선이 진다. 일반 황매화는 꽃잎이 다섯장이다 죽단화의 꽃말은 숭고, 기다림이라고 합니다. 2024. 4. 1.
모란 목 단 牧丹) 작약 과의 낙엽 관목 오로 중국 원산지 이다 모란 목단 牧丹) 작약 과의 낙엽 관목오로 중국 원산지 이다 모란(목단, 牧丹)  작약과의 낙엽관목오로 중국 원산지 이다 크고 화려한 꽃으로 유명하다.모란은 꽃이 화려하여 위엄과 품위를 갖추고 있는 꽃이다.그래서 부귀화(富貴花)라고 하기도 하고, 또 꽃 중에 왕이라고 하기도 한다.모란이 중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은 신라 진평왕 때로 알려져 있다.꽃은 암수한꽃으로, 4 ~ 5월에 피며 10개 정도의 꽃잎이 있고 가지끝에 크고 소담한 꽃이 한 송이씩 핀다. 꽃색은 자주색이 보통이나,개량종에는 짙은 빨강, 분홍, 노랑, 흰빛, 보라 등 다양하며 홑겹 외에 겹꽃도 있다.양귀비를 모란에 비유하는 등 당나라 이후 모란은 시를 쓰고 그림을 그리는 대상물이 되었다.아름답고 화려한 꽃의 대표 자리는 모란이 .. 2024. 4. 1.
새우난초 난초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일본과 한국이 원산지이다 새우난초  난초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일본과 한국이 원산지이다 새우난초  난초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일본과 한국이 원산지이다 뿌리줄기가 마치 웅크린 새우 등을 닮았다고 하여 새우 난초라 한다. 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고 햇볕이 잘 들어오며 토양이 비옥한 경사지에서 자란다.잎은 양끝이 좁고 주름이 있으며, 첫해에는 2∼3개가 뿌리에서 나와 곧게 자라지만 다음해에는 옆으로 늘어졌다가 그 이듬해에는 사라지며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뿌리는 1년에 한 개씩 생기고 포복성으로 옆으로 벋으며 새우등과 같은 모양의 마디가 많다 꽃은 4~5월 자주색과 녹갈색, 또는 연녹색으로 여러 개의 꽃이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한다 꽃말 : 미덕, 온화금새우난초(노랑새우난초.금새우란) 금새우난초는 우리나라 남부.. 2024. 4. 1.
해당화 꽃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관목 원산지는 한국 일본 사할린 해당화 꽃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관목 원산지는 한국 일본 사할린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관목. 원산지는 한국, 일본, 사할린, 만주, 쿠릴열도, 캄차카 등의 아시아 지역이고, 동아시아의 온대에서 아한대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바닷가의 모래밭이나 산기슭에서 자라고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장미속의 다른 종들과 함께 건위제·강장제·통경제로 사용되며 유방염·당뇨병 등에도 쓴다. 꽃에 방향성 정유가 많아 향수의 원료가 되기도 하고, 열매의 육질부를 사용하기도 한다. 뿌리는 염료로 사용한다. 해당화는 멀리 고려시대 이전부터 아름다운 자태를 노래하던 꽃나무다.해당화는꽃뿐만 아니라 실제의 쓰임새도 많다.향수의 원료가 되고, 꽃잎은 말려 술을 담그거나우려서 차로 마시기도 한다.향수를 대신하는 향낭, 즉 향기 나는.. 2024.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