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 광릉 봉선사
대한 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이다. 969년(광종 20)에 법인국사(法印國師)
탄문(坦文)이 창건하여 운악사(雲岳寺)라고 하였다. 그 뒤 조선 세종 때에
이전의 7종을 선교양종(禪敎兩宗)으로 통합할 때 이 절을 혁파 하였다가,
1469년(예종 1)에 세조의 비 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尹氏)가 세조를
추모하여 능침을 보호하기 위해 89칸의 규모로 중창한 뒤 봉선사(奉先寺)라고
하였다. 봉선사(선왕의 뜻을 받들어 모시는 사찰)는 봉은사, 봉녕사와 함께
수도권의 삼봉사찰 중의 하나이며 여주 신륵사가 세종대왕 영릉의 원찰,
화성 용주사가 정조대왕의 명복을 비는 원찰, 삼성동 봉원사가 선정릉의
원찰인 것과 같은 류類이다. 봉선사는 대한불교조계종 25개 교구 본사로 은행나무로
유명한 양평의 용문사와 사나사 등을 말사로 두고 있다. 봉선사는 국립수목원으로
이름이 바뀐 광릉수목원 옆에 있다. 세조대왕의 능인 광릉을 지키기 위한 절이기도 하다.
참배객들에게는 아주 편하고 포근하게 느껴지는 절이다. 우선 입장료나 주차비를 받지
않아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고 큰법당이라는 한글 현판이 걸려 있는 대웅전이 있는
곳까지 쉽게 들어갈 수 있는 곳에 넓은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서 좋다. 봉선사(奉先寺)
홈페이지(http://www.bongsunsa.net/)에 따르면, 봉선사는 교종 수사찰(首寺刹)의
종풍과 선종 사찰의 법맥을 그대로 전승하고 있는 대가람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1550년(명종 5)에 이 절이 선교 양종 중 교종의 수사찰(首寺刹)로 지정되어 전국의
승려 및 신도에 대한 교학 진흥의 중추적 기관이 되었던 역사적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국내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용인시 해곡동 와우정사 (0) | 2024.06.30 |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사적 제508호,해남 대흥사 (0) | 2024.06.09 |
전남 영광군 법성면 진내리 백제 불교 최초 도래지 (0) | 2024.06.02 |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송광사 (0) | 2024.06.02 |
전북 완도군 소양면 위봉사 (0)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