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가 그림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선구자, 겸재 정선(謙齋 鄭敾)

by 신정동 홍프로 2025. 2. 2.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선구자, 겸재 정선(謙齋 鄭敾)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선구자, 겸재 정선(謙齋 鄭敾) 조선 후기의 화가인 정선

(1676 - 1759)은 한양에서 태어나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집안일과 공부를 병행하며

틈틈이 그림을 그렸다.정선은 그림을 그릴수록 답답함을 느꼈는데, 당시 화가들은 진짜

경치를 보고 그리기보다는 중국 그림을 그대로 그리거나 머릿속 상상만으로 그림을

그렸기 때문이었다.정선은 우리나라 사람과 경치를 그리고 싶어서 전국을 다니며 우리의

산과 경치를 직접 보고 느낀 감동 그대로를 화폭에 담았다.쓰다 버린 붓의 양이 어마어마할

정도로 그림을 많이 그렸다.금강전도, 인왕제색도등 빼어난 걸작을 남겼다

 


금강전도(金剛全圖)  [금강전도, 호암미술관]


화적연(禾積淵)  간송미술관


삼부연(三釜淵) "해악전신첩" 간송미술관


화강백전(花江栢田) "海嶽傳神帖" 간송미술관


 수태사동구(水泰寺洞口)  "關東名勝帖" 간송미술관


정자연(亭子淵)  ‘關東名勝帖’ 간송미술관


피금정(披襟亭)  “辛卯年楓嶽圖帖” 국립중앙박물관


피금정, “海嶽傳神帖” 간송미술관


 단발령망금강산(斷髮嶺望金剛山)  “海嶽傳神帖”, 간송미술관


단발령망금강산, “辛卯年楓嶽圖帖”, 국립중앙박물관


금강내산총도(金剛內山總圖)  “海嶽傳神帖”, 간송미술관


 금강내산, 고려대학교박물관


장안사(長安寺)  "해악팔경" 간송미술관


장안사,“辛卯年楓嶽圖帖” 국립중앙박물관


 백천동(百川洞)  “해악팔경” 간송미술관


정양사(正陽寺)   “海嶽八景” 간송미술관


正陽寺, 간송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