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찰162 충북 보원군 속리산면 유네스코 세계유산, 속리산 법주사 충북 보원군 속리산면 유네스코 세계유산, 속리산 법주사 충북 보은 속리산면에 자리하고 있는 법주사입니다 이곳은 국내외에서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천년사찰이며 유네스코세계유산으로 등재가 되어있는 문화재입니다 사찰 경내에는 다수의 국보와 함께 보물및 유형문화재들이 전해집니다 신라의 진흥왕 14년에 의신조사에 의해 창건이 되였습니다 이후 776년에 중창을 거쳤으며 조선조 중기에 이르러 사찰의 규모가 60동에 달하는 건물과 70개소의 암자를 거느린 대찰로 번성을 하였던 절집입니다 그렇지만 임진왜란을 겪게 되면서 거의 모든 건물들은 불에터서 소실이 되었습니다 이후로 1624년인 조선 인조2년에 벽암 스님은 중창을 시작해서 경내의 중심 축인 우리나라 3대 불상전이라 손꼽히는 대웅보전 주변에 30동의 건물들을 지어.. 2023. 7. 23. 충남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계백로 개태사 충남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계백로 개태사개태사는 논산 제6경으로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를 정벌하고 이를 기념하기위해서 세운 사찰로 왜구의 침략으로 사라졌다가 근대에 재건되고,개태사의진전에 태조의 영정을 모시고, 고려 말까지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 큰사찰이었다. 2023. 7. 9.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 수덕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 수덕사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 나혜석, 그의 절친 김일엽과 함께 3년을 지냈던 곳비운의 나혜석 제자 이응로가 한국 전쟁 때 이곳을 사서 기거하다가 부인에게이 집을 남겨주고 16살 연하의 애인과 프랑스로 떠난다.이후 동백림 사건으로옥살이를 하고 다시 여기서 본부인과 지내다가 어느날 이 바위에 그림 같은글씨를 새겼다.그리고 다시 애인과 함께 프랑스로 떠난다.뛰어난 두뇌과재능을 가졌지만 사회가 인정해 주지 않아 힘든 삶을 산 나혜석.세계에서알아준 재능을 가졌지만 국가가 인정해 주지 않은 이응로.한국의 전형적인아내로 살았지만 사랑하는 남편에게 두번이나 버림받는 이응로의 아내.참 애석한 사연이 깃든 여관이다.아내가 주지 정묵 스님과 약속이 되어찾은곳 수덕사 탐방 후 막걸리 한잔이 갈증을 해소.. 2023. 6. 25. 경기 파주시 광탄면 천년 고찰 보광사 경기 파주시 광탄면 천년 고찰 보광사고령산(622m) 기슭에 있는 천년 고찰로, 신라 진성여왕(894년)의 명령으로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당시는 국가의 비보 사찰로서 한강 이북의 6대 사찰 중의 하나였다. 고려 시대인 1215년(고종 2) 원진국사가 중창을 했고 법민 대사가 불보살 5위를 봉안했으며 계속해서 1388년(우왕 14)에는 무학 왕사가 삼창했다고 한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임진왜란 때 폐허가 된 것을 1622년에 설미,덕인 스님이 함께 중건했으며 1634년에 범종 봉안 불사가 이루어졌다. 1667년에는 지간, 석련 스님이 대웅보전, 관음전을 재건하였다. 서기 1740년에는 부근에 숙종의 후궁으로 영조 임금을 낳은 숙빈 최씨의 묘인 '소령원'이 가까운 관계로 절을 숙빈 최씨의 원찰로 삼아 대웅.. 2023. 6. 25. 단양 대한불교 천태종의 총 본산 소백산 구인사 단양 대한불교 천태종의 총 본산 소백산 구인사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에 위치한 대한불교 천태종의 총 본산인 소백산 구인사입니다 소백산의 연화봉 아래쪽에 자리 잡고 있는 이곳 구인사는 대한불교 천태종의 총 본산으로 천태종은 594년 중국의 지자대사가 만든 종파로 지자대사가 머물렀던 천태산의 이름을 따와서 천태종으로 부릅니다 고려시대 숙종 2년에 이르러 대각국사 의천스님으로 부터 우리나라의 천태종의 역사는 시작되었으며 현재의 소백산 구인사는 전국에 108개의 말사를 관장하는 천태종의 총본산으로 1945년에 이곳 현재의 위치에 자리를 잡고 1966년에 현대식 콘크리트조의 빌딩식 건축물에 기와지붕을 올렸으며 콘크리트에는 단청을 칠하여 특이한 모습의 사찰 건축물 50여동이 소백산 연화봉 아래쪽 계곡을 따.. 2023. 6. 18. 진안 벚꽃 명소 진안 마이산 벚 꽃길 마이산 금당사 진안 벚꽃 명소 진안 마이산 벚 꽃길 마이산 금당사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의 마이산의 남부 진입로에서 부터 시작하여 마이산 탑사 까지 이어지는 진안 마이산벚꽃길입니다 이곳은 고원지대라 가장 늦게피는 벚꽃길로 알려져 있으며 4월 중순이 지나여 만개할것으로 예상합니다 마이산 탑사방향으로 가다보면 등갈비를 취급하는 식당들이 밀집하여 있고 마이산매표소가 위치한 왼편으로 마이산 금당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곳 금당사를 지나고도 1.4킬로 미터 정도 이어자는 벚꽃길이 끝나는 곳에 유명한 마이산 탑사가 있습니다 마이산 금당사는 신라 현덕왕 6년에 혜감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집니다 금당사의극락전에는 수천년 수령에 은행나무로 조각하여 제작한 금당사목불좌상이 지방 유형문화제 1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가로 5m이며 세로 9m.. 2023. 6. 18. 전북 진안 관광 명소 진안의 사찰 마이산 은수사 전북 진안 관광 명소 진안의 사찰 마이산 은수사전북 진안군 마령면 마이산에 위치한 은수사는 한국불교 태고종 사찰입니다 이곳 은수사는 누가 언제 창건을 하였는지 기록이 없어 정확이 알수는 없습니다 사찰과 관련이 되어서 전해오는 이야기들은 대부분이 태조 이성계와 관련지어져 있습니다 사찰의 이름은 상원사와 정명암과 같은 여러가지 명칭이 전해오기도 합니다 은수 사란 사찰 이름의 유래는 태조 이성계가 이곳 사찰에서 물을 마시고 물이 은과 같이 맑고 깨끗하다고 말했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라고 하지만 이것도 사실관계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마이산 은수사는 마이산 탑사를 지나서 약 300m 정도를 산길을 따라 더 올라가야 합니다 마이산의 봉우리 암벽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 입니다 마이산 탑사와 더불어 마이산이 품.. 2023. 6. 18. 전북 진안관광 명소 진안의 사찰 진안 마이산 탑사 전북 진안관광 명소 진안의 사찰 진안 마이산 탑사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 위치한 마이산의 암마이봉 남쪽방향에 골짜기에 자라잡고 있는 마이산 탑은 자연석으로 쌓아올린 돌탑들이 무리지여 세워져 있는 곳으로 일부는 무너지고 현재는 80여기가 남아있는 전라북도 기념물입니다 1976년 4월에 전라북도 기념물 제35호에 지정이 되어 있습니다 이곳은 조선 후기 임실에 살았던 이갑용이란 사람이 고종 25년에 25세의 나이로 마이산에 입산하여 이곳 은수사에 머물고 있으면서 수도하던 중에 꿈속에서 신의 계시를 받아 돌탑을 쌓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약 10년 동안에 걸쳐서 120여 개에 달하는 여러가지의 형태로 탑을 쌓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는 일부는 무너져서 탑 80여 개가 남아 있으며 탑사라는 이름의 사찰이 세워져 .. 2023. 6. 18. 대구 관광 명소 대구 벚꽃 명소 대구동화사 대구 관광 명소 대구 벚꽃 명소 대구동화사대구 동구 팔공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대구 동화사는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입니다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인 극달이 창건하여 유가사라고 이름붙힌 사찰로 흥덕왕 7년에 심지왕사가 중건할 당시 사찰 주변으로 오동나무 꽃이 만발하여 있어서 동화사라 개칭을 하였다고 전합니다 이후로도 여러 차례 중창을 거쳐서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사찰경내에는 1732년에 8번째로 중건한 대웅전과 극락전 연경전과 천태각 등 20여 채의 건물들이 대부분 조선조 영조때에 중창되어 지어져 있습니다 전해오는 문화재는 보물 6점이 있습니다 1992년에 낙성된 통일약사여래석조대불과 함께 새로운 당우들도 많이 지어졌습니다 또한 이곳은 산사체험 템플스테이가 인기가 높습니다 봄이면 상춘객과 출사객.. 2023. 6. 18.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8 다음